일단 PDF 파일을 우클릭해서 연결 프로그램으로 크롬을 선택해 주고,
윈도우 메뉴에서 '기본 앱' 을 검색해서 '파일 형식별 기본 앱 선택' 에 들어가면 PDF의 기본 앱을 지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df 확장자의 기본 앱으로 크롬이 선택되어있는걸 확인해준다
크롬으로 PDF 잘 읽고 있었는데,
한컴오피스를 다운받고 난 후 내부에서 충돌이 일어났는지 PDF 를 열었는데 크롬에서 열때마다 그냥 다운로드가 되더니, 나중에는 빈 화면만 나왔다.
이럴 땐 레지스트리 값을 확인해준다.
윈도우 시작 메뉴에서 'regedit' 입력 (레지스트리 편집기)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들어가서,
HKEY_CLASSES_ROOT 폴더에서 Control+F 눌러 ".pdf"를 검색한다. pdf 형식의 레지스트리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그러면 (기본값) 밑에 Content Type의 키값을 볼 수 있는데,
한글을 깔고 난 후 데이터가 "application/haansoftpdf" 로 바뀌어 있는 부분을
Content Type을 더블클릭하고 "application/pdf" 로 변경해준다.
이렇게 변경하고 난 후, pdf가 크롬에서 제대로 열리는 걸 확인했다.
반응형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사진앱, 스토어(ms 스토어) 오류(안열림,업데이트 안됨) (0) | 2022.09.27 |
---|---|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CMD) 에서 파일 관리하기(CMD 명령어) (0) | 2022.08.09 |
DB와 SQL (0) | 2019.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