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생활/읽고생각 2

2030 축의 전환 - 출생률 감소 원인과 앞으로의 기회

"여성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가족의 규모는 줄어든다." 시간이 흐를수록 개도국에서도 여성 한 사람이 낳는 자녀의 수는 줄어든다. 가정 밖에서 더 많은 기회를 발견하고, 더 높은 교육을 받게 되면서 임신과 출산을 미룬다. "기술이 인간의 성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오락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은 성관계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렸다. 선진국에서는 성관계 횟수가 지속해서 줄고 있다. "수입이 많아지면 사람들은 양보다 질에 초점을 맞춘다." 가계의 수입이 많아지면, 사람들은 자녀를 더 많이 낳으려고 하기 보다는 적은 자녀에게 더 많은 지원을 하려고 한다. 최선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집중한다. - 비용 대비 수익(투자)의 관점으로 보자면, 더 높은 수익을 위해 투자를 늘리는 것. "유럽, 미국, 동아시아의 ..

2030 축의 전환 - 도시와 관련된 부분 밑줄긋기

과거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한 도시들은 지금 인구 정체와 유출의 위기를 겪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의 기회를 활용했는지의 여부가 지역의 미래를 달리 한다. 미국의 경우, 뉴욕, 보스턴 등 몇몇 지역은 이런 기회를 살렸으며 오하이오, 디트로이트 등은 이런 기회를 살리지 못한 지역으로 언급된다. 이들 지역 간의 차이는, 1. "연구 중심 대학"의 존재 여부와, 2. "다양성을 지원하는 정책"의 여부이다.(이민자들에 대한 개방성 등) '성 소수자 지수'와 '방랑자 지수' 가 높은 도시가 경제적으로 성장한다고 한다. 자유롭게 이동하는 사람들이 모이는지의 여부가 도시에 '창의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이 도시에 기술과 인재가 모이게 한다. 이는 경제력과 직결된다. "자본주의의 동력원은 새로운 소비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