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구들/GIS 13

[QGIS] shp파일 좌표 확인하고 변환하기, OTF(on the fly) 기능

QGIS 에서는 OTF(온더플라이) 기능을 지원하는데, OTF 란 좌표체계가 서로 다른 파일들을 같은 좌표상에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기능이다. 좌표가 서로 다른 파일 두 개를 올려보자. (인천 경계 파일과 배경지도로 Daum street map을 활용했다.(TMS for Korea 플러그인 활용)) 웹 - TMS for Korea 에서 다음지도 street map을 불러와 보자. *TMS for Korea 는 '플러그인' 에서 검색해서 다운로드, 다운로드 후 상단 '웹' 메뉴에서 확인 가능) 다음 지도의 좌표정보는 EPSG 5181 임을 오른쪽 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EPSG 5181 (Korea 2000 / Central Belt) - GRS80, TM중부) 여기에 인천 경계 파일을 올려보자. O..

도구들/GIS 2022.04.21

좌표체계 기본 3. 투영(projection)과 좌표 표현

https://ryuhyun.tistory.com/59 좌표체계 기본 2. 데이텀(타원체, 중심)과 측지계 변환 https://ryuhyun.tistory.com/58 좌표체계 기본 1. 지오이드와 타원체(Bessel, GRS80, WGS84 등) 지구의 형상은 완벽한 구형이 아니라, 실제로는 굉장히 울퉁불퉁하다. 울퉁불퉁한 지구상에 위치를 표현하기 위 ryuhyun.tistory.com 지구상의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은 크게 아래와 같이 두 종류로 구분된다. 1. 3차원 구 상의 위치를 표현 -> 지리좌표계(GCS, Geographic Coordinate Systems) 2. 2차원 평면상에 위치를 표현 -> 투영좌표계(PCS, Projected Coordinate Systems) 1) GCS(지리좌표계..

도구들/GIS 2022.03.15

좌표체계 기본 2. 데이텀(타원체, 중심)과 측지계(지역,세계) 변환

https://ryuhyun.tistory.com/58 좌표체계 기본 1. 지오이드와 타원체(Bessel, GRS80, WGS84 등) 지구의 형상은 완벽한 구형이 아니라, 실제로는 굉장히 울퉁불퉁하다. 울퉁불퉁한 지구상에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서 가상의 지구 표면을 가정한다. 가상의 표면은 '중력 방향에 직각'인 표면으 ryuhyun.tistory.com 이어지는 글이다. 원하는 지역의 지오이드 형상에 잘 맞는 '준거타원체(reference ellipsoid)' 를 정해서 활용할 때, 타원체의 위치 기준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필요한 타원체와 타원체의 중심에 대한 정보를 데이텀(datum, 측지계)라고 한다. 지역측지계의 경우 지오이드의 중심과 타원체의 중심은 다를 수 있다. 지오이드상의 특정 지..

도구들/GIS 2022.03.15

좌표체계 기본 1. 지오이드와 타원체(Bessel, GRS80, WGS84 등)

지구의 형상은 완벽한 구형이 아니라, 실제로는 굉장히 울퉁불퉁하다. 울퉁불퉁한 지구상에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서 가상의 지구 표면을 가정한다. 가상의 표면은 '중력 방향에 직각'인 표면으로 구성된다. * 중력방향에 직각인 면 = 모든 표면에서 중력이 같은 면 = '등중력포텐셜면' ** 중력포텐셜(gravitational potential) : 주어진 위치에서 단위 질량의 입자가 가지는 중력 위치 에너지 중력 방향에 직각인 가상의 표면을 '지오이드(geooid)'라 한다. 평균해수면과 일치하고 지구상에서 높이(해발고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면이다. 실제 지표면과 지오이드를 비교해 보면, 대륙에서는 지표면보다 낮고 해양에서는 지표면보다 높게 나타난다. 지오이드는 모든 표면에서 중력(에너지)이 같은 등에너지..

도구들/GIS 2022.03.15

[ArcGIS] Define projection 여러 파일의 좌표계 정의 한꺼번에 하기(batch processing)

좌표계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카달로그의 System Toolboxes - Data Management Tools - Define projection 에서 좌표를 정의할 수 있다. ArcGIS 에서는 동일한 작업을 반복할 경우 Batch 프로세스를 지원하는데, 좌표 정의에서도 좌표를 정의해야 할 파일이 많은 경우 Batch 프로세스가 가능하다. *ArcGIS의 batch processing 관련 문서 https://desktop.arcgis.com/en/arcmap/latest/analyze/executing-tools/a-quick-tour-of-batch-processing.htm A quick tour of batch processing—ArcMap | Documentation desktop.a..

도구들/GIS 2022.01.19

[QGIS] shp 필드명 변경하기(벡터 테이블 - 필드 재작성)

이전에 아래와 같이 플러그인으로 table manager 를 설치해서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했는데, https://ryuhyun.tistory.com/10 [QGIS] shp 파일 필드명 변경하기 ArcGIS에서는 테이블의 필드명을 변경할 수 없다. 새로운 필드를 생성해서 복붙하는 방법도 있으나, Q GIS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1. 테이블 매니저(table manager) 플러그인 다운받기 Q GIS를 실행 ryuhyun.tistory.com 더욱 간편하게 '공간 처리 툴박스' 에서 '벡터 테이블' 을 이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메인 메뉴 상단에 '공간 처리' 메뉴에서 '툴박스' 를 클릭하면 ArcGIS의 툴박스 처럼 인터페이스 상에 고정이 가능하다. 툴박스 메뉴에서 '벡터 테이블' 메뉴 하위에 ..

도구들/GIS 2021.10.15

[ArcGIS,QGIS] 속성테이블에서 한글 깨질 때, GIS 한글깨짐

shp 파일을 ArcGIS 또는 QGIS에서 열었을 때 속성 테이블에서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럴땐 인코딩 방식을 변경해주면 된다. 인코딩 방식은 QGIS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같은 파일을 QGIS에서 열어 보면 마찬가지로 한글이 깨져서 나온다. 해당 레이어를 우클릭하고, '소스' 탭에서 데이터 소스 인코딩 방식을 'UTF-8'로 변경해준다. (기본적으로 System이 선택되어 있다) 변경 후 QGIS상에서 필드에 한글이 제대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레이어 우클릭 -> 내보내기 -> 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으로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면, ArcGIS에서도 인코딩이 변경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내보내기 할 때, 파일명 옆의 [...] 버튼을 클릭해서 내보내기 할 폴더를 ..

도구들/GIS 2021.08.18

[ArcGIS] 여러 개의 shp 파일 한꺼번에 edit 하기

에디터를 통해 shp 파일을 개별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이동, 도형 수정 등) edit feature의 경우 개별 shp 파일을 선택해야 하므로, 여러 개의 파일을 선택해서 동일한 수정을 적용할 수 없다. 여러 개의 shp 파일을 동일하게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Organize Feature Template" 기능을 이용해 템플릿을 만들어서 일괄 수정할 수 있다. shp 유형이 포인트, 라인, 폴리곤으로 다양해도 전부 선택이 가능하다. edit 하고자 하는 shp 우클릭 - edit features - organize feature template 선택 후, New Template를 클릭하여 새로운 템플릿에 포함시킬 shp 객체들을 선택한다. 선택 후, Finish를 누르면 템플릿에 포함된 레이어들은..

도구들/GIS 2021.07.08

[ArcGIS] 여러 개의 dwg 파일 shp로 변환하기

dwg 파일은 캐드의 확장자로, ArcGIS에서 불러올 경우 dwg 파일 내의 점, 선, 도형 등 모든 벡터 속성을 포함하여 패키지 레이어 형태로 로딩된다. ArcGIS에서 작업이 가능한 shp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개별 레이어를 우클릭해서 개별 shp로 export 하는 방법도 있지만, dwg 파일과 하위 속성이 너무 많을 경우 일일히 클릭해서 export 하기는 어렵다. 일괄적으로 shp로 내보내는 방법은 ArcCatalog를 이용한다. 1) shp로 변환하고자 하는 dwg 파일들을 같은 폴더에 위치시킨다. 2) dwg 파일들을 우클릭 - export - to shapefile (multiple) 클릭 후 나오는 대화창에서 output 폴더를 지정하고 실행해주면 된다.

도구들/GIS 2021.07.08

[ArcGIS] shp 파일에서 특정 구역을 자르는/추출하는 법(clip, select)

shp 파일은 도형(polygon)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도형은 속성정보(dbf 파일)에 대응된다.(각 도형이 속성을 가지고 있음) shp 파일을 자르거나 원하는 구역을 추출하는 데에는 도형 자체를 자르는 방법(clip), 그 도형의 속성(attribute)이나 위치(location)를 기준으로 선택해서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select by attribute, select by location) 1. Clip Clip 기능은 Analysis Tools – Extract에서 찾을 수 있다. Extract에는 clip 외에도 select*, split(쪼개기) 가 있다. *select는 뒤에서 설명할 select by~와 사실 같은 기능이다 예시로 sido_1975 파일(input)을 sido_2020..

도구들/GIS 2021.04.16
반응형